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20

🌏 지구병크 연대기 ① - “국운이 너무 없는 나라” 🌏 지구병크 연대기 ① - “국운이 너무 없는 나라” – 하필이면, 그때마다 최악이 대통령이었다 – 대한민국의 역사는 참 이상하다.나라가 잘될 찬스가 올 때마다, 꼭 그 순간에 가장 위험한 인간이 권력을 잡았다.우연이라 하기엔 너무 정확했고, 필연이라 믿기엔 너무 절망적이었다.한 번은 나라가 막 세워질 때,또 한 번은 나라가 다시 도약해야 할 때.그 두 시점마다 등장한 인물의 이름은 —이승만, 그리고 윤석열이었다.🧩 1. 국운(國運)의 타이밍모든 나라에는 한두 번쯤 ‘국운의 문’이 열린다.전쟁이 끝난 뒤, 체제가 재편될 때, 혹은 세계의 패러다임이 바뀔 때.그 시기를 잘 잡으면 국가는 다음 세기로 도약하지만, 놓치면 한 세대가 통째로 뒤처진다.1948년의 대한민국은 “나라의 기초”를 세울 기회였다.2.. 2025. 10. 15.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8편 - ⚔️ “끝나지 않은 국경선, 끝나지 않은 복수”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8편 - ⚔️ “끝나지 않은 국경선, 끝나지 않은 복수” 파키스탄–아프간 국경에서 다시 불붙은 총성 2025년 가을, 카이베르 파흐툰크와(Khyber Pakhtunkhwa).하루에도 수십 발의 포탄이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두 이웃은 또다시 **국경을 사이에 두고 ‘누가 먼저 쐈는가’**를 두고 싸우고 있다.하지만 이번에는 단순한 우발 교전이 아니다 — 양국 모두 공습과 대규모 반격을 병행하는 실질적 충돌 단계에 들어섰다.🧭 배경: ‘두란드 라인’이라는 끝나지 않은 상처이 모든 분쟁의 뿌리는 189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영국 식민 시절에 임의로 그어진 ‘두란드 라인(Durand Line)’,이 2,640km의 인공 국경선이 파슈툰족의 땅을 둘로 갈라.. 2025. 10. 15.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7편 - 🇫🇷 “정치의 위기, 유럽의 불안”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7편 - 🇫🇷 “정치의 위기, 유럽의 불안”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프랑스가 흔들리면 유럽이 떤다.최근 몇 주간 프랑스 정국은 그야말로 **‘정치적 진공 상태’**에 가까워졌다. 총리 사임, 의회 해산 논란, 그리고 거리의 시위가 동시에 터지면서, 유럽연합(EU) 내 두 번째 경제 대국이 사실상 ‘정책 공백’ 상태에 빠졌다.이 위기는 단지 한 나라의 정치 불안이 아니다.프랑스 정부의 정책 마비가 유럽 전체의 투자와 신뢰 회복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브뤼셀과 베를린, 밀라노의 금융시장까지 파장이 번지고 있다.⚖️ 정치의 붕괴, 숫자로 나타나다지난 9월 말, 프랑스 하원은 예산안 수정안 통과에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연정 파트너들이 대거 이탈했고, 엘리제궁은 긴급히 .. 2025. 10. 15.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6편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6편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이집트 샴엘셰이크, 전 세계 지도자들이 모인 이유 붉은 사막의 도시, 샴엘셰이크(Sharm el-Sheikh)가 다시 국제 무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이집트 정부가 20여 개국의 정상과 외교 수장을 긴급히 소집하면서, 가자전쟁 종식을 향한 첫 공식 협상 테이블이 열렸다. 회의에는 미국·프랑스·영국·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튀르키예·요르단 등이 자리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공식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그러나 양측의 ‘그림자 인사’들이 별실에서 접촉을 이어갔다는 후문이다.🌍 배경: “종전 없는 평화협정은 없다”최근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인질 교환과 제한적 휴전 이후, 국제사회는 ‘전후 질서’를 둘러싸고 긴장된 움직임을 이어왔다.이집트는 202.. 2025. 10. 15.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5편 - “마침표일까, 쉼표일까”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5편 - “마침표일까, 쉼표일까” 인질·수감자 맞교환과 트럼프의 중동 순방이 남긴 것두 해에 걸친 전쟁의 가장 무거운 장면이 드디어 바뀌었다. 가자전의 휴전 합의와 함께 ‘생존해 있던 마지막 20명의 이스라엘 인질’이 석방됐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와 구금자 약 1,900명을 내보냈다. 전쟁의 시작을 알렸던 ‘인질’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귀환과 포옹, 그리고 눈물의 풍경으로 치환되는 순간이다. 이 장면을 배경으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집트·이스라엘 등 지역을 순방하며 미국 중재의 성과를 강조했고, 샤름 엘 셰이크에서는 20여 개국 정상이 모인 회의장에서 휴전 관련 문서에 서명이 이어졌다. 하지만 종전의 문턱은 높고, 그 너머는 더 복잡하다. 무엇이 합의됐나교환의 핵.. 2025. 10. 15.
🧩 지구병크 연대기 – 대한민국의 극우와 그 뿌리 - 🔸 5편 (에필로그): 한국형 극우의 유전자 🧩 지구병크 연대기 – 대한민국의 극우와 그 뿌리 - 🔸 5편 (에필로그): 한국형 극우의 유전자 🧬 “극우는 외부에서 온 바이러스가 아니다.그건 한국 정치의 DNA 안에 이미 존재했다.”1945년 해방 직후부터, 한국의 극우는 늘 **‘피해자 코스프레’**로 시작했다.친일파는 반민특위의 조사 대상이 되자 자신들을 “빨갱이의 희생자”로 포장했다.이승만 정권은 이 논리를 이용해 자신을 ‘공산주의로부터 조국을 지킨 영웅’으로 포장했고, 그렇게 **“가해자가 피해자의 얼굴을 쓴 정치 구조”**가 만들어졌다. 💣 1970~80년대 군사정권 시절, 극우는 국가 시스템 그 자체였다.반공은 교리였고, 애국은 충성이었으며, 비판은 반역이었다.시민은 ‘생각하는 국민’이 아니라 ‘복종하는 신도’로 길러졌다.그렇게 .. 2025.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