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정치67

🌍 지구는 현재 진행형 430편 - 🇮🇱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 외국군 투입 허용 여부 — “어떤 군대가 허용되느냐는 이스라엘이 결정한다” 🌍 지구는 현재 진행형 430편 - 🇮🇱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 외국군 투입 허용 여부 — “어떤 군대가 허용되느냐는 이스라엘이 결정한다” “후견인인 듯 보이지만, 실제 주권은 우리가 쥐고 있다.”🎯 10월 26일, 예루살렘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는 일요일 내각 회의에서 “우리는 우리 안보를 통제한다. 국제군에 관해서도, 허용될 군대를 우리가 결정할 것이다”라고 밝혔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한 가자지구 휴전안의 일환으로 논의된 국제 파견군 구상과 맞물려 있다. 🔍 무엇이 쟁점인가?이번 국제 파견군은 가자지구의 불안정한 정전 상황을 유지하면서 안보와 인도주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나, 어느 국가의 군대가 참여할지는 아직 미확정 상태다. 네타냐후는 특히 터키군의 참여 .. 2025. 10. 28.
🇰🇭 지구병크 연대기 – 캄보디아: 이념이 만든 지옥🌏 지구병크 연대기 105편 - 🇰🇭 1편. 붕괴의 전야 (1960~1975) 🇰🇭 지구병크 연대기 – 캄보디아: 이념이 만든 지옥🌏 지구병크 연대기 105편 - 🇰🇭 1편. 붕괴의 전야 (1960~1975) 앙코르 와트의 유산을 품은 나라, 캄보디아.한때 동남아의 보석이라 불리던 이 땅은20세기 냉전의 회오리 속에서 전쟁의 실험장으로 변했다. 💣 시아누크 왕조와 냉전의 틈바구니1960년대, 시아누크 국왕은 ‘중립 외교’를 표방했다.미국과 소련, 그리고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며“캄보디아는 어느 편에도 서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그 말은 곧 모든 편의 적이 된다는 뜻이기도 했다. 🔥 베트남전의 불길, 국경을 넘다미국이 북베트남을 공격하면서 전쟁의 불길은라오스와 캄보디아로 번져왔다.미군은 **‘호치민 루트’**를 차단한다는 명목으로캄보디아 농촌 지역을 무차별 폭격했다.. 2025. 10. 22.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6편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86편 - “모래 위의 평화 테이블” 이집트 샴엘셰이크, 전 세계 지도자들이 모인 이유 붉은 사막의 도시, 샴엘셰이크(Sharm el-Sheikh)가 다시 국제 무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이집트 정부가 20여 개국의 정상과 외교 수장을 긴급히 소집하면서, 가자전쟁 종식을 향한 첫 공식 협상 테이블이 열렸다. 회의에는 미국·프랑스·영국·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튀르키예·요르단 등이 자리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공식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그러나 양측의 ‘그림자 인사’들이 별실에서 접촉을 이어갔다는 후문이다.🌍 배경: “종전 없는 평화협정은 없다”최근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인질 교환과 제한적 휴전 이후, 국제사회는 ‘전후 질서’를 둘러싸고 긴장된 움직임을 이어왔다.이집트는 202.. 2025. 10. 15.
《만약에 대한민국이 정전협정에 서명했다면?》🇰🇷 2편: 서명했다면 ― 달라졌을 70년의 외교사 《만약에 대한민국이 정전협정에 서명했다면?》🇰🇷 2편: 서명했다면 ― 달라졌을 70년의 외교사 1953년 여름, 만약 대한민국이 정전협정서에 서명했다면 —그 한 줄의 잉크는 이후 70년의 외교사를 완전히 뒤바꿨을 것이다.그건 단순히 ‘전쟁을 끝내는 문서’가 아니라,**“한반도 주도권 회복의 시작점”**이었을 테니까.🕊 1950~60년대 ― 한국이 평화협정 논의의 주인공이 된다현실에서는 정전협정 이후모든 군사적·외교적 결정이 ‘유엔군사령부’ 명의로 진행됐다.하지만 서명을 했다면,대한민국은 법적으로 **‘정전협정 당사자이자 평화협정 전환 협상국’**으로 참여했을 것이다.이승만의 자리에 서명만 있었다면,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과 소련, 중국 사이에서“한반도 평화 체제”를 논의하는 자리에 한국이 빠질 이.. 2025. 10. 10.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69편 – 🌐 유엔, 세계 평화유지군 25% 감축 결정 — 자금난의 그림자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69편 – 🌐 유엔, 세계 평화유지군 25% 감축 결정 — 자금난의 그림자 전 세계 평화 유지 현장은 큰 변곡점을 맞이했다. 유엔은 심각한 재원 부족을 이유로 전 세계 평화유지군의 약 25%를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 조치로 9개의 유엔 임무 지역이 직격탄을 맞게 되며, 군인·경찰 1만3천~1만4천 명의 철수와 함께 민간 직원과 장비 감축도 뒤따를 전망이다. ⚙️ 무엇이 문제였나? — 자금과 책임의 부조화미국은 유엔 평화유지 활동의 최대 기여국이었는데, 현재 미납액이 28억 달러가 넘는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4-25년 평화유지 예산 중 8억 달러를 자르기도 했다. 이러한 재정 압박 아래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절감”을 명분으.. 2025. 10. 10.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63편 – 🏛 유엔 인권이사회, 아프가니스탄 인권 조사안 표결 예정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63편 – 🏛 유엔 인권이사회, 아프가니스탄 인권 조사안 표결 예정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난 지 수년이 흘렀지만, 그 땅에 남겨진 상처는 아직도 깊다. 유럽연합(EU)이 제안한 포괄적 인권 침해 조사안이 이번 주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표결에 부쳐질 예정이다. 이 안은 단순히 탈레반의 폭압만이 아니라, 과거 외국군(특히 미군과 동맹군)의 작전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까지 포함해 다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사안의 핵심탈레반: 여성 교육 금지, 강제 결혼, 언론·시민 억압 등 조직적 인권 침해.외국군: 공습 및 작전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피해, 불법 구금·학대 의혹.조사 범위: 2001년 미군 주도의 아프간 침공 이후부터 현재까지, 모든 당사자의 책임 규명.이는 어느 한쪽.. 2025.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