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제정치 개그 시리즈

✅ 《지구병크 연대기 57편》📌 1편 – “콘크리트만 남은 꿈”

by 지구굴림자 2025. 8. 4.

✅ 《지구병크 연대기 57편》📌 1편 – “콘크리트만 남은 꿈”

– 에버그란데 이후, 중국의 유령 도시들


🧱 하늘을 찌르는 꿈, 땅에 묻힌 현실
한때 ‘중국의 드림’을 외치며 쏟아진 콘크리트의 물결.
부동산 개발 붐은 마치 '중국판 아메리칸 드림' 같았다.
하지만 그 끝에는 사람이 사는 집이 아니라,
빛도 없고, 소리도 없는 유령 도시만이 남았다.


🏗️ 에버그란데의 붕괴 – 도미노의 시작
중국 2위 부동산 기업, 에버그란데(恒大集団).
2021년 디폴트 선언 이후,
이 거대 기업의 몰락은 단순한 ‘하나의 기업 실패’가 아니었다.

  • 수천 개의 미완공 아파트
  • 완공됐지만 입주율 0%의 신도시
  • 공사 중단 → 근로자 실직 → 공급망 붕괴

중국 전역으로 경제 좀비가 퍼져나갔다.


📉 정책, 더 꼬였다
정부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3가지 레드라인’이라는 규제를 들이댔지만,
결과는?
🏚️ 기름 떨어진 엔진에 브레이크 밟은 꼴.

  • 돈줄 막힌 부동산 회사들: 새 프로젝트 중단
  • 집 없는 청년들: 꿈도 같이 멈춤
  • 지방정부: 땅 못 팔아 세수 직격탄

👻 유령 도시, 도시가 아니다
중국 허난성, 허베이성 등에는 ‘신도시’ 간판을 달고 있지만
사람 그림자도 안 보이는 고스트 타운이 수십 개.

  • 아파트 외벽은 번쩍, 내부는 텅텅
  • 지하철역은 있지만 승객은 없음
  • 편의점 대신 흙먼지 가득한 인도

한때의 ‘꿈’이 이제는 무덤처럼 남았다.


🧠 병크의 핵심은?
“실수는 한 번이면 충분한데, 중국은 반복을 시스템화했다.”

‘집은 사는(live) 곳이지, 사는(buy) 게 아니다’
– 시진핑 주석의 명언(?)이 있지만,
현실은 집도, 사람도, 돈도 사라진 병크 도시.


📌 결론
중국의 부동산은 더 이상 성장의 엔진이 아니다.
남은 것은 시멘트, 유령, 그리고 빚.
이 도시들은 사람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역사의 경고장을 붙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