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27 📌 지구는 현재진행형 70편《북러 협력과 신축동맹: 어벤져스보다 무서운 빌런팀 결성되나》 📌 지구는 현재진행형 70편《북러 협력과 신축동맹: 어벤져스보다 무서운 빌런팀 결성되나》🧨 1. 김정은 요즘 러시아에 진심임💬 "러시아는 동지다, 혈맹이다"김정은, 요즘 러시아 향해 입에 침도 안 바르고 찬양 중.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북한 열병식에도 출동해서 분위기 업!👊 군사협력 향해 직진 중🎯 2. 러시아, 우크라 전쟁으로 포탄 부족함💣 포탄, 드론, 미사일… 다 떨어져 가는 러시아그 와중에 북한은 탄약 창고가 넘친다?➡️ 조건 없이 거래 OK, 속전속결 체계 완비☢️ 3. 이란도 껴서 같이 노는 분위기🛩️ 이미 러시아에 드론 팔고 있는 이란핵 기술도 있고, 반미 노선에서.. 2025. 7. 21. ✅ 《지구는 현재진행형》69편 – 북한 출신 포함, 세계 무대에 첫발 ✅ 《지구는 현재진행형》69편 – 북한 출신 포함, 세계 무대에 첫발《북한 출신 포함 K‑POP 보이밴드의 등장: 문화외교의 신호탄?》“K‑POP에 북한 출신 멤버라니… 이게 진짜야?”7월 18일, 글로벌 K‑POP 시장에 이색적인 데뷔 소식이 등장했다.5인조 보이밴드 **‘1VERSE’**가 데뷔 무대를 치렀는데, 주목할 점은 그 중 1명이 탈북자 출신이라는 것이다. 단순한 개인의 연예계 진출을 넘어, 한반도의 분단 현실과 문화적 경계를 허무는 상징적 사건으로 해석된다.“아이돌도 분단을 넘는다”1VERSE는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멤버 구성은 한국계·탈북자·다국적 청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콘셉트는 ‘하나의 목소리, 하나의 우주’로, 국적과 이념을 초월해 하나가 된 음악을 지향한다고 .. 2025. 7. 21.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 《6편 – 민주주의와 산업화를 동시에? 대체역사 속 '코리안 모델'》 📘 《6편 – 민주주의와 산업화를 동시에? 대체역사 속 '코리안 모델'》20세기 중후반, 전쟁도 식민지도 없었던 한반도.세계는 이 나라를 ‘대체 어떻게 이렇게 발전했지?’라는 눈으로 보기 시작한다.🧭 들어가며21세기 초, 세계는 한국을 두고 이렇게 말한다.“경제력은 독일급, 정치 시스템은 스웨덴 느낌, 근데 어째 문화는 일본보다 세다?”“저기, 그 나라 이름이 뭐더라? 아! 코리안 리퍼블릭!”이상한 나라가 아니었다.다만, 식민지 경험도, 전쟁의 폐허도 없이,외교의 줄타기와 내부 개혁만으로 강국이 되어버린 ‘정통 조선의 후예’였다.🏗️ 1. 냉전 시대에도 '중립'을 고수한 조선조선은 1, 2차 세계대전에서도 무사히 독립을 유지한 데 이어냉전 구도 속에서도 스위스+핀란드 모델의 중립국 포지션을 굳힌다... 2025. 7. 21.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 - 5편. 일본의 첫 도발, 조선 외교의 진짜 시작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5편. 일본의 첫 도발, 조선 외교의 진짜 시작1894년, 조선은 드디어 선택을 강요받는다.청과의 등거리 외교를 유지하며 자주권을 지켜오던 조선. 그러나 일본은 조선을 자신들의 대륙 진출 통로로 여기기 시작했고, 드디어 동학 농민 운동을 핑계 삼아 조선 땅에 군대를 보낸다.이른바 ‘갑오의 위기’, 조선에게는 사실상 최초의 외세 군사 침공이었다.🇯🇵 일본, ‘보호조약’ 들고 들이닥치다일본은 군대를 상륙시키며 조선 정부에 **‘친일 내각 구성’과 ‘일본 고문 파견’**을 강요한다.하지만 그동안 프랑스의 외교 자문과 러시아·청과의 균형 외교를 통해 다져온 내공이 있었던 조선은 당황하지 않는다."우리는 귀국의 제안에 응할 수 없다. 우리의 독립은 결코 타.. 2025. 7. 21.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4편. 조선을 둘러싼 삼국의 줄다리기, "너나 가져"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4편. 조선을 둘러싼 삼국의 줄다리기, "너나 가져"19세기 말, 급속히 강대국으로 떠오르는 일본. 그들은 대륙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조선을 탐냈다. 하지만 조선은 이미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해 개화에 성공한 상태였다. 그 결과, 일본의 의도는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문제는 일본만이 아니었다.청나라도, 러시아도 조선을 손에서 놓고 싶지 않았다.🇨🇳 청나라의 입장 – 맹주 타이틀을 지켜라청나라는 오랜 세월 동안 조선을 속국처럼 다뤄왔고, 여전히 "조선은 우리 동생국"이라는 관념에 사로잡혀 있었다. 하지만 조선이 프랑스와 손을 잡고 서양식 제도를 도입하면서, 청의 입김은 점점 약해졌다.게다가 프랑스 군사 고문단이 조선군을 재편하고 있다는 정보가 들어오자.. 2025. 7. 21.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3편: “한반도를 둘러싼 삼국지 – 조선, 일본, 청의 삼각 줄다리기!” 🌍 만약에 한국이 ‘식민지가 된 적 없는 나라’였다면?3편: “한반도를 둘러싼 삼국지 – 조선, 일본, 청의 삼각 줄다리기!”19세기 후반, 조선은 프랑스와의 협력 덕분에 개화의 물꼬를 튼다. 프랑스와의 동맹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정치적 생존 전략이었다. 문제는… 일본과 청나라 역시 한반도에 군침을 흘리고 있었다는 점. 이 시기 한반도는 그야말로 동아시아 외교의 블랙홀이었다.🔥 청나라: "너네 우리 조공국이었잖아?"청은 조선이 프랑스와 너무 가까워지는 걸 견제하며 외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한다."은혜도 모르는 놈들…" 하며 고종에게 친서를 보내고, 국경 인근 병력 증강을 노골화한다.조선은 이를 역이용해 프랑스 대사에게 말한다.“보셨죠? 이래서 우리 방위 협정이 더 절실하다고요.”프랑스는 조선에 .. 2025. 7. 21.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