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제정치 개그 시리즈

💣 지구병크 연대기 – 이라크 - 2편 – 후세인의 시대 (1979~2003)

by 지구굴림자 2025. 10. 29.

💣 지구병크 연대기 – 이라크 - 2편 – 후세인의 시대 (1979~2003)


🩸 절대권력의 시작, 그리고 광기의 체제화
1979년, 사담 후세인은 드디어 권좌에 오른다.
그는 정적들을 숙청하며 “이라크는 나다”라는 선언을 실현했다.
군부, 정보기관, 언론, 종교까지 모두 그의 감시망 아래 들어갔다.
국가의 상징은 국기나 헌법이 아니라, 후세인의 초상화였다.

그의 권력은 공포와 석유로 유지됐다.
석유 수입은 무기와 정보기관에 쏟아졌고,
국민은 전쟁의 연료가 되어 갔다.


⚔️ 이란과의 8년 전쟁 — ‘중동의 베트남’
1980년, 후세인은 이란 혁명 직후의 혼란을 틈타 공격을 감행한다.
그는 “이란을 무너뜨리면, 중동의 맹주가 될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전쟁은 8년 동안 끝나지 않았다.
도시들은 폐허가 되고, 경제는 붕괴했다.

이란과 이라크의 전쟁은
결국 **“아무도 이기지 못한 싸움”**이 되었다.
하지만 후세인은 패배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승자라고 선포했고,
국민은 침묵 외엔 선택지가 없었다.


💰 미국의 그림자 아래서 — 냉전의 이중극장
전쟁 중, 미국은 이라크를 ‘이란 견제 카드’로 지원했다.
무기·정보·위성사진이 은밀히 후세인에게 전달되었다.
그러나 냉전이 끝나자, 그 지원은 사라졌고
후세인은 새로운 적을 찾아 나섰다 — 쿠웨이트.

1990년, 그는 “쿠웨이트가 이라크의 석유를 훔쳤다”며 침공을 명령한다.
그러나 이 결정은
**“이라크의 병크 중 병크”**로 기록된다.


💥 걸프전 – 제국의 역습
미국은 즉각 반응했다.
“사막의 폭풍 작전(Operation Desert Storm)”이 시작되었고,
이라크는 압도적인 공군력 앞에 무너졌다.
전쟁은 단 100시간 만에 끝났다.

후세인은 살아남았지만, 나라는 폐허가 되었다.
UN의 제재는 10년 이상 지속되었고,
이라크는 기근·질병·경제 파탄으로 신음했다.


🕰 권력의 망상과 국민의 침묵
후세인은 그 모든 실패를 외부의 탓으로 돌렸다.
그는 “이라크는 여전히 위대하다”고 외쳤고,
국민들은 그 말에 박수를 강요당했다.
그의 궁전은 늘어났지만,
국민의 냉장고는 텅 비어갔다.

그리고 2003년,
그 망상은 마침내 세계 최강국의 총구 앞에 멈춰 섰다.


📍 엔딩 포인트
“승리는 없었다. 다만 잿더미 속의 권력뿐이었다.”

 

🧠 지구 굴림자의 멘트
“후세인은 적을 외부에서 찾았고,
그 덕에 내부의 고통은 잠시 잊혔다.
하지만 끝내, 그 외부의 적이 문을 두드렸다.”

 

😂 마지막 유머
“이란과 싸우고, 쿠웨이트 치고, 미국에 맞선 남자.
결국 남은 건 초상화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