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에 대한민국이 정전협정에 서명했다면?》🇰🇷 3편: 분단 70년의 다른 길 ― 평화, 혹은 새로운 냉전
1953년 그 한 줄의 서명이 있었다면 —
한반도의 역사는, 아마 지금 우리가 아는 냉전의 풍경과는 전혀 달랐을 것이다.
그건 단지 ‘전쟁을 끝낸 종이 한 장’이 아니라,
한국이 국제 질서의 플레이어로 진입한 문이었을 테니까.
🌏 1970~80년대 ― 냉전 속의 평화 목소리
서명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은,
1970년대 냉전 구도 속에서도 평화체제 전환을 요구할 명분을 가졌을 것이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미·중 수교가 이뤄지던 시점에
한국은 “정전협정의 이행 당사국”으로서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공식 어젠다로 내걸 수 있었을 것이다.
그건 당시 미국과 중국 모두에게 무시할 수 없는 요구였다.
왜냐면 평화협정 논의에서 한국은 더 이상 ‘보호 대상’이 아닌
**‘협상 당사자’**였기 때문이다.
한국이 주도한 “4자 회담 구상”(남·북·미·중)은
현실보다 20년은 앞당겨졌을 가능성이 크다.
1970년대 말, 베이징과 워싱턴 사이에서 서울이 조정자 역할을 하는 모습도 충분히 그려진다.
🕊 1990년대 ― ‘4자 평화협정’의 성사
냉전이 해체된 1990년대 초,
만약 대한민국이 정전협정 서명국이었다면
‘4자 평화협정’은 현실로 성사됐을 가능성이 높았다.
당시 소련 붕괴, 중국 개혁개방, 미국 단극 체제의 확립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완벽한 외적 조건을 마련했다.
그 세계선의 한국은
- 법적 전쟁 종식 선언,
- 남북 상호불가침 조약 체결,
- 유엔 감시하 평화체제 이행 기구 설립
까지 주도했을 것이다.
이후 미군은 점진적으로 감축,
한국군은 자주방위체제로 전환되며
한반도는 동북아에서 **“무력 대신 외교가 작동하는 실험지”**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 ‘아시아의 평화 리더’로
그 흐름이 이어졌다면
대한민국은 2000년대에 들어
단순한 수출 강국이 아니라,
**‘아시아 평화 리더’**로 자리 잡았을 것이다.
동남아 분쟁 조정, 북한 개혁 개방 지원,
한중일 협력 체제의 중재국 역할까지 —
모두 정전협정의 법적 지위를 근거로 한 외교적 영향력이다.
“분단의 피해자”가 아니라,
“냉전 해체의 주역”으로 역사가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 그러나 평화는 언제나 양날의 검
물론 리스크도 있었다.
북한은 평화협정을 ‘통일의 전단계’가 아니라,
**‘분단을 영구화하는 안전장치’**로 악용했을 수도 있다.
한반도 내에서는 “중립화 논쟁”이 커지고,
미군 철수 압박이 이어지며
‘새로운 냉전’ — 즉,
한국 내부의 이념 대립이 다시 불붙는 시나리오도 가능했다.
평화협정의 주도권이 한국에 있었더라도,
그게 영구적 안정을 의미하진 않는다.
자주 외교는 얻었지만,
균형 외교의 부담이 더 커졌을 수도 있었다.
🧭 결론 ― 전쟁의 휴식이 아닌, 자주권의 시작점
정전협정의 서명은 단순한 전쟁 중단이 아니라
주권의 선언이 될 수 있었다.
만약 그날 대한민국의 이름이 적혔다면,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돼 있더라도,
주도권만큼은 한국이 쥐고 있었을 것이다.
😂 결국 이승만이 펜을 들었다면,
‘휴전선’은 경계가 아니라 출발선이 되었을지도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