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약에 한국이... 시리즈

만약에 한국이 IMF를 피했더라면? (1편) - YS의 조기 집권과 성급한 개혁

by 지구굴림자 2025. 8. 22.

만약에 한국이 IMF를 피했더라면? (1편)

YS의 조기 집권과 성급한 개혁

1997년 외환위기(IMF 사태)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큰 경제적 충격이었다. 하지만 만약 역사가 조금만 달라져, IMF를 피해갔다면 지금 한국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 첫 번째 가정은 바로 김영삼 대통령(YS)의 조기 집권이다.


📌 1987년, 갑작스러운 변수

현실에서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민주화의 흐름 속에서 노태우가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만약 당시 김대중(DJ)이 와병으로 대선에 불출마하게 된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 김영삼은 단독 후보로 야권을 대표.
  • 노태우는 군부 후계자 이미지에 묶여 몰락.
  • 결국 1988년, 김영삼이 당선되며 민주화의 상징으로 집권한다.

즉, YS의 대통령 취임이 5년 앞당겨지는 것이다.


📌 YS의 빠른 칼질: 하나회 척결과 금융실명제

집권한 YS는 특유의 성격대로 “한번 하자고 하면 끝을 본다”는 스타일을 발휘한다.

  1. 군부 숙청 – 하나회를 단숨에 해체.
    • 군부 쿠데타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
    • 문민정부가 현실보다 빠르게 자리 잡는다.
  2. 금융실명제 – 현실에서는 1993년에 시행했지만, 이 IF에서는 1988년부터 시행.
    • 검은 돈이 일순간에 묶이며 혼란 발생.
    • 기업들의 자금줄도 갑자기 경색 → 단기적으로는 경제 충격.

📌 IMF보다 훨씬 일찍 온 ‘경고등’

이 조기 시행착오는 한국 경제에 초기 충격을 준다.

  • 기업들은 갑작스러운 실명제에 당황, 자금 유동성 위기.
  • 금융기관은 뒷돈과 차명계좌가 막히면서 패닉.
  • “너무 성급하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아직 시간이 충분히 남아 있다는 것이다.

  • IMF 위기가 터지기까지는 10년 이상 남아 있음.
  •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서서히 회복할 수 있다.

즉, 현실의 1997년처럼 “뒤늦은 구조조정”이 아니라, 1980년대 후반부터 경제 체질 개선이 시작되는 것이다.


📌 달라진 한국 경제의 시계

이 IF에서는 한국 경제가 현실보다 5년 빠르게 개혁의 고통을 겪는다.

  • 초반엔 혼란 → 기업 구조조정, 금융 투명성 강화.
  • 이후 90년대 초반부터는 체질이 안정되며, 위기를 맞을 준비가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YS가 앞당겨 집권하면서 한국은 “고통의 시간”을 조금 더 일찍 겪지만, 덕분에 1997년 IMF라는 치명적 충격을 피할 토대를 다지게 되는 것이다.


👉 다음 2편에서는, 이렇게 바뀐 시간선 속에서 DJ가 조기 집권했을 때 어떻게 IMF를 정면에서 예방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