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27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6편 – 🌊 세계 최초 ‘공해 보호 조약’ 발효 준비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6편 – 🌊 세계 최초 ‘공해 보호 조약’ 발효 준비 🌊 전 세계 국가들이 드디어 **‘공해(公海) 보호 조약(High Seas Treaty)’**을 현실화하기 시작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국가 간의 경계가 없는 바다 한가운데—즉 국제 수역을 법적으로 지켜내려는 시도다. ⚖️ 이 조약의 핵심은 단순히 바다를 깨끗하게 유지하자는 캠페인이 아니다. 과도한 어획, 불법 조업, 환경 파괴를 막고, 해양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려는 국제적 합의다. 특히, 일부 선진국과 거대 기업들이 독점해온 해양 자원에 규칙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지금, 바다는 지구 생태계의 ‘허파’와 같다. 해양 생물 다양성이 파괴되면 결국 인간의 생존에도.. 2025. 9. 22.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3편: 냉전과 오늘날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3편: 냉전과 오늘날 🛰️ 냉전의 프레임 전환소련과의 대결은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가 아니라 “자유시장 대 공산주의”라는 프레임으로 굳어졌을 것이다. 자유와 평등이라는 보편적 가치는 약해졌고, 대신 자본과 시장의 우위가 체제 경쟁의 핵심이 되었을 것이다. 미국은 자유의 수호자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최전선으로서 자신을 정당화했을 것이다. 💰 슈퍼파워의 지속산업력과 인구, 자원에서 이미 세계를 압도한 미국은 초강대국의 자리를 지켰을 것이다. 핵무기 개발도 여전히 이어졌을 것이며, 항공우주·정보통신 분야에서도 소련과 경쟁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 힘은 가치나 이상보다는 경제적 이익과 군사적 우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을 것이다. 🌍 오늘날의 미국오늘날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강의.. 2025. 9. 22.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2편: 산업화와 세계 전쟁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2편: 산업화와 세계 전쟁 🛠️ 산업화의 지연과 수렴남부가 주도한 미국은 초기에 농업 중심 질서를 고수했을 것이다. 목화·담배 등 플랜테이션 경제가 우위를 점했고, 산업화의 속도는 현실보다 늦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산업화의 세계적 흐름은 거스를 수 없었고, 국가 규모의 수요와 시장 논리가 결국 공업화를 끌어올렸을 것이다. 🚂 북부 인프라와 이민자 에너지북부에 축적된 철도·항만·제철 인프라는 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독일·아일랜드 등 유럽계 이민자의 유입도 계속되었을 것이며, 이들이 제공한 노동력과 기술이 기계·철강·철도 산업의 기반을 재구축했을 것이다. 정치적 주도권은 남부에 있었지만, 산업의 동력은 북부 인프라와 이민자 에너지가 담당했을 것이다. 🌐 세계대전에서의 동.. 2025. 9. 22.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1편: 남부의 승리와 새로운 질서 📌 남부 승리 이후의 미국 1편: 남부의 승리와 새로운 질서 ⚔️ 리 장군의 워싱턴 입성만약 남북전쟁이 남부의 승리로 끝났다면, 가장 극적인 장면은 바로 로버트 E. 리 장군이 워싱턴 D.C.를 점령하고 북군이 항복하는 순간일 것이다. 수도는 리치먼드로 옮겨지고, 미국의 권력 중심은 단숨에 농업 귀족과 플랜테이션 소유층에게 넘어갔을 것이다. 📜 헌법과 제도의 재편남부 주도의 새로운 헌법 개정은 필연이었다. 무엇보다도 노예제는 존속했으며, 흑인 인구는 정치적으로 완전히 배제된 채 농업경제의 기반으로만 활용되었다. 정치권은 남부 귀족 출신들이 독점했고, 국가는 철저히 보수적 성격으로 굳어졌을 것이다. 🏭 북부 산업과 이민자들의 존재그러나 남부가 권력을 잡았다고 해서 모든 것이 농업국가로만 고착되지는 않.. 2025. 9. 22.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5편 – 🇫🇷 마크롱, “이란 제재 부활 가능성” 경고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5편 – 🇫🇷 마크롱, “이란 제재 부활 가능성” 경고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이란과의 최근 대화를 두고 **“비생산적이었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이란 핵 합의(JCPOA)를 둘러싼 교착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유엔 차원의 제재 재부활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이란은 최근에도 핵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요구를 거부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서방 국가들은 이를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며, 기존 합의를 지키지 않는다면 외교적 대화는 의미가 없다고 지적한다. 마크롱의 발언은 단순한 불만 표출을 넘어, 유럽이 강경 노선으로 선회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그동안 유럽은 미국과 보조를 맞추면서도 협상 여지를 남겨왔지만, 이제는 *.. 2025. 9. 22.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4편 – 🌐 협력은 원하지만, 신뢰는 낮다 🌍 지구는 현재 진행형 304편 – 🌐 협력은 원하지만, 신뢰는 낮다 새롭게 발표된 국제 여론 조사가 세계인의 모순된 인식을 보여줬다. 응답자 다수는 기후변화, 팬데믹, 전쟁, 난민 문제 같은 초국경적 위기를 해결하려면 글로벌 협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동시에 그 협력을 이끌어야 할 핵심 국제기구 — UN, WHO, IMF — 에 대해서는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우세했다. UN은 거부권 남발과 안보리 마비로 **“말만 많은 회의장”**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졌다. WHO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대응 실패로 신뢰를 잃었고, IMF는 구조조정 조건을 내세워 개발도상국의 고통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을 여전히 받고 있다. 결국 국제기구는 필요하지만 불신받는 존재라는 딜레마에 빠져 있는 셈이다. .. 2025. 9. 22.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