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병크 연대기 ③ 2022 – 미래를 복수로 바꾼 윤석열
“세계는 AI로 전쟁 중인데, 그는 유튜브와 검찰로 싸우고 있었다.”
1️⃣ 기술 패권의 시대, 한국은 기회를 맞이했다
2020년대 초반은 AI와 반도체, 에너지 패권 전쟁의 시대였다.
미국은 인공지능을 국가전략으로 격상시키고,
중국은 반도체 자립을 위해 천문학적 투자를 단행했다.
유럽은 탄소중립과 데이터 주권을 내세워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려 했다.
그때 한국은 세계가 부러워하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 세계 1~2위의 반도체 경쟁력
-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
- 탄탄한 연구 인력과 교육 수준
- 민간 AI 스타트업 성장세
한마디로 “한 세대 도약”의 문이 열린 시기였다.
그러나 정권이 들어서자, 그 문은 닫히기 시작했다.
2️⃣ 전략가가 아닌, 검찰총장을 뽑았다
2022년의 선택은
“국가 경영자”가 아닌 “검찰 수사관”이었다.
윤석열은 수사와 기소로 권력을 잡은 사람이었지,
국가를 설계할 전략가는 아니었다.
그가 청와대에 가져온 건 정책이 아니라 수사 기록이었다.
국정은 국가 비전이 아니라, 복수의 리스트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AI, 반도체, 기후 산업, 과학기술은 모두 뒷전으로 밀렸다.
“그는 국가를 경영하지 않았다.
대신 국가를 조사했다.”
3️⃣ R&D 예산 삭감 – 미래를 자르는 칼날
윤석열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도 손대지 않던 R&D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이건 단순히 ‘예산 조정’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 자립 구조를 붕괴시킨 사건이었다.
한국의 과학기술 예산은 불과 1년 사이 20조 원 이상 축소되었다.
AI·로봇·바이오·우주항공·배터리 등 핵심 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그 여파는 곧바로 현실로 나타났다.
- 정부 지원이 끊기며 중소 연구소가 줄도산.
- 국책 연구기관 프로젝트 중단 → 인력 대량 유출.
- AI·반도체 인재들이 해외 기업과 연구소로 이탈.
이때 미국, 유럽, 일본은 오히려 R&D 투자를 사상 최고 수준으로 늘리고 있었다.
한국만 **“미래에서 손을 뗀 나라”**가 된 셈이다.
“R&D 예산은 눈에 안 보이지만,
그건 미래의 심장박동이다.
그는 그 심장을 멈춰 세웠다.”
4️⃣ 돈으로 인재를 사가는 시대,
예산을 깎는 나라의 미래는 없다
AI 시대의 패권은 인재 확보력에 달려 있다.
중국·미국·유럽의 거대 연구소들은
한국의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을 두세 배 연봉으로 스카우트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시기, 한국 정부는
“성과 없는 연구는 낭비”라며 예산을 깎았다.
결과적으로 인재는 해외로 유출되고,
남은 연구진은 생존에 급급했다.
그건 ‘효율성’이 아니라 자해였다.
국가가 자기 미래의 두뇌를 팔아넘긴 셈이다.
“그가 깎은 건 돈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뇌였다.”
5️⃣ 산업정책의 붕괴 – 기술 리더십의 상실
R&D 삭감은 단지 연구자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그건 산업 전체의 체질을 약화시키는 결정이었다.
반도체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AI 윤리·데이터 인프라 예산이 사라졌다.
국가 차원의 기술 로드맵은 공백이 되었고,
기업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안 속에 멈춰섰다.
그 사이 세계는 AI 군비 경쟁에 돌입했다.
한국은 선두에서 밀려나, “기술 하청국”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그가 한 삭감은 한 해의 절약이 아니라,
한 세대의 추락이었다.”
6️⃣ 언론과 사법의 장악 – 복수의 정치 완성
윤석열의 국정 운영은 경제도 과학도 아닌 보복 중심이었다.
그는 언론을 통제하고,
야당 인사를 기소하며,
정권 비판 세력을 “적”으로 규정했다.
‘국민의 대통령’이 아닌, ‘검찰의 대통령’이었다.
국정의 언어는 보고서가 아니라 기소장,
토론이 아니라 조사였다.
“그의 정치는 미래를 향한 설계가 아니라,
과거를 향한 복수였다.”
7️⃣ 외교의 붕괴 – 기술 없는 고립국
외교에서도 그는 완전히 실패했다.
일본에는 굴욕, 중국에는 도발,
미국에는 맹종, 러시아에는 침묵.
그 결과 한국은
**“불안정한 동맹국”**으로 분류되며 신뢰를 잃었다.
기술 동맹에서 배제되고,
AI 및 반도체 협력 구도에서도 입지가 흔들렸다.
경제 외교가 기술 외교로 확장되던 시대에,
한국만 정치적 복수와 내부 갈등으로 시간을 낭비했다.
8️⃣ 병크의 결말 – 미래의 기회 → 복수의 정치
| 시대적 기회 | AI, 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 |
| 실제 결과 | R&D 삭감, 인재 유출, 산업 붕괴, 외교 고립 |
| 병크 포인트 | 미래의 기회 → 복수의 정치 |
윤석열 정부는
한국이 ‘미래국가’로 도약할 마지막 시점에
국가의 에너지를 오직 정치 보복에 쏟았다.
그는 20세기의 논리로 21세기를 다뤘고,
기술을 모르는 정권이 미래를 잃게 만들었다.
“그가 싸운 건 부패가 아니라,
자신의 비판자들이었다.”
9️⃣ 결론 –
과거에 집착한 정권이 미래를 죽인다
R&D 예산은 숫자가 아니라 국가의 운명 곡선이다.
그걸 자른 순간, 한국은 기술 경쟁에서 탈락했고,
세계는 더 이상 한국을 ‘미래형 국가’로 보지 않았다.
이승만이 민주주의의 뿌리를 뽑았다면,
윤석열은 미래의 근육을 잘라냈다.
그가 남긴 것은 정치적 폐허와 기술의 공백,
그리고 “기회가 복수로 변한 시대”였다.
“그는 역사의 기회를 등지고,
과거의 망령을 선택했다.”
출처: 과기정통부, OECD Tech Report, KISTEP, Reuters, 한국연구재단, 산업부 통계자료
시리즈: 《지구병크 연대기 – 국운이 너무 없는 대한민국》 (3편)
'🔥 국제정치 개그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지구병크 연대기 – 콜롬비아, 코카인의 왕국 ① 마약의 탄생, 국가의 타락 (1970~1984) (0) | 2025.10.20 |
|---|---|
| ⚖️ 지구병크 연대기 ④ 결론 – 국운이 없는 게 아니라, 잘못 뽑은 나라 (3) | 2025.10.15 |
| ⚙️ 지구병크 연대기 ② 1948 – 건국의 기회를 독재로 만든 이승만 (0) | 2025.10.15 |
| 🌏 지구병크 연대기 ① - “국운이 너무 없는 나라” (0) | 2025.10.15 |
| 🧩 지구병크 연대기 – 대한민국의 극우와 그 뿌리 - 🔸 5편 (에필로그): 한국형 극우의 유전자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