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약에 대한민국이 – 한글날 특집》- 만약에 한글이 동아시아 전체에 퍼졌다면? 1편: 위안스카이와 한글의 기회
🏯 위안스카이와 한글의 기회
20세기 초, 동아시아는 문자의 장벽에 갇혀 있었다. 중국은 한자의 복잡한 체계 때문에 문맹률이 90% 이상에 달했고, 근대 국가로 발돋움하기엔 지식 보급 속도가 너무 느렸다. 이런 배경 속에서 등장한 인물이 바로 위안스카이였다. 그는 군벌이자 정치가였지만, 동시에 국가 운영의 실용성을 누구보다 강조한 인물이었다.
✍️ 실제 역사: 위안스카이의 고민
위안스카이는 “국민 대다수가 글을 읽지 못하는 상황에서 근대화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나온 발상이 바로 ‘쉬운 문자’의 도입이었다.
- 당시 중국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로마자 표기, 간화자 개혁, 그리고 심지어 조선의 한글 도입까지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 한글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단순성, 자음과 모음의 조합 원리 덕분에 “배우기 쉬운 문자”로 평가받았다.
- 실제로 일부 개혁파는 “한글이야말로 중국을 구할 수 있는 문자”라고까지 주장했다.
🌏 IF: 만약 실행되었다면?
만약 위안스카이가 정치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글 도입을 밀어붙였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
- 교육 혁명: 중국 전역에서 단기간에 문맹률이 크게 떨어지며, 국민 교육이 폭발적으로 확산.
- 관료제 개혁: 복잡한 한자 대신 한글로 행정이 진행되면서 문서 처리 속도와 행정 효율이 비약적으로 상승.
- 군대와 사회 통합: 전국의 다양한 방언을 한글로 표기·교육함으로써, 언어적 격차가 줄고 국민 통합력이 높아짐.
⚖️ 현실의 저항과 가정의 차이
물론 실제 역사에서 이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 사대부와 전통 지식인 계층은 한자를 버리는 것 = 문명의 뿌리를 버리는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 위안스카이 본인도 정권 유지에 급급해, 결국 문자 개혁 같은 모험은 시도하지 못했다.
하지만 IF 세계에서 그가 결단을 내렸다면, 중국은 근대화의 속도를 수십 년 앞당긴 국가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 정리
한글은 본래 조선의 문자였지만, 위안스카이의 고민 속에서 동아시아 전체의 가능성으로 잠시 떠올랐다.
비록 현실에서는 사라진 논의였지만, 만약 실행에 옮겨졌다면 중국의 근대사는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을 것이다.
😂 생각해보면, 중국이 한글을 썼다면 지금 중국집 메뉴판도 한글로 쓰였을 거잖아? 짜장면 대신 ‘炸醬麵’이 아니라 그냥 ‘짜장면’으로 국제화됐을 수도 있지.
'만약에 한국이...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만약에 대한민국이 – 한글날 특집》- 만약에 한글이 동아시아 전체에 퍼졌다면? 3편: 🌍 21세기, 한글이 세계의 링구아 프랑카라면 (1) | 2025.10.09 |
|---|---|
| ✍️ 《만약에 대한민국이 – 한글날 특집》- 만약에 한글이 동아시아 전체에 퍼졌다면? 2편: 동아시아 문자 혁명 (0) | 2025.10.09 |
| 📌 만약에 대한민국이 2002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면? – 🌍 20년 뒤, 대한민국의 위상은? (5) | 2025.10.08 |
| 📌 만약에 대한민국이 2002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면? – 🌏 우승이 남긴 정치·사회적 파장 (0) | 2025.10.08 |
| 📌 만약에 대한민국이 2002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면? – ⚽ 붉은 함성, 정상까지 (0) | 202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