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정세 알쓸잡잡

지구는 현재진행형 573편 🌏 중국, ‘선저우-22’ 발사 준비 — 다시 우주 전략의 엔진을 켠다

by 지구굴림자 2025. 11. 26.

지구는 현재진행형 573편 🌏 중국, ‘선저우-22’ 발사 준비 — 다시 우주 전략의 엔진을 켠다

 

중국이 유인우주선 **선저우-22(Shenzhou-22)**를 11월 25일에 발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단순히 또 한 번의 발사 일정이 아니라, 최근 몇 달간 조용했던 중국의 우주 전략이 재가동되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선저우-22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宫) 운영 프로그램의 핵심 임무로,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교대해 실험·정비·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우주개발 속도를 높였지만, 최근 국내 경기 침체·기술 제재 압박 등으로 ‘속도 조절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다.
그런 가운데 이번 발사는 **“중단 없음, 후퇴 없음”**을 강조한 정치적 메시지로도 해석된다.


🚀 중국이 지금 우주 전략을 다시 밀어붙이는 이유

✔ 1) 미국과의 기술패권 경쟁이 ‘우주’까지 확장

미국은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일본·유럽과 협력하는 반면,
중국은 러시아·브릭스권과 협력하며 양대 우주 블록이 형성되는 중이다.
이번 발사는 중국식 우주 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과시 효과가 있다.

✔ 2) 내수 침체 속 ‘기술굴기’ 상징이 필요

중국 경제가 둔화되고 부동산 위기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우주 프로젝트는 ‘국가 자부심 + 최첨단 기술 국가’ 이미지를 재확인시켜주는 가장 확실한 무대다.
중국 정부가 지금 시점에 발사 일정을 공개한 이유이기도 하다.

✔ 3) 브릭스 확장과 외교적 영향력 확대

중국은 우주기술을 **‘신흥국 외교력의 마중물’**로 사용해 왔다.
위성 발사·정찰 기술·통신 협력을 통해
브릭스·글로벌사우스 국가들의 지지 기반을 넓히고 있다.


🛰 선저우-22는 무엇을 의미하나?

● 우주정거장 톈궁의 안정 운영

선저우 시리즈는 톈궁이 미국의 ISS 은퇴 이후 독자적 국제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실험·생명과학·소재 연구의 확장

중국은 우주정거장을 단순한 군사·과학 장난감이 아니라
신소재·의학·생명공학 실험 플랫폼으로 활용하려 한다.

● 우주자원 경쟁의 ‘전초전’

달·소행성 채굴 경쟁이 현실화되고 있고
중국은 이 분야에서도 미국·일본과 경쟁할 준비를 하고 있다.
선저우-22는 그 레이스의 지속적인 신호다.


🌐 미중 경쟁 구도에서 갖는 의미

  • 미국은 동맹국 중심의 다자 우주 네트워크 구축
  • 중국은 독자 플랫폼 + 신흥국 외교 조합
  • 대만해협·남중국해 안보 긴장과도 간접적으로 연결
  • 기술패권 경쟁이 “땅 → 바다 → 사이버 → 우주”로 확장되는 흐름을 상징

📎 마지막 한 줄

중국의 선저우-22 발사는 단순한 임무가 아니다—
우주는 이제 기술패권 경쟁의 최전선이다.

 

출처: Reu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