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제정치 개그 시리즈

지구병크 연대기 – 러시아 특집 🔥 3편 — 러시아 경제 ‘기계’의 진짜 한계: 언제 멈추는가?

by 지구굴림자 2025. 11. 24.

지구병크 연대기 – 러시아 특집 🔥 3편 — 러시아 경제 ‘기계’의 진짜 한계: 언제 멈추는가?

 

 

러시아 경제는 지금 세계에서 가장 ‘기묘한 형태’로 굴러가는 기계다.
겉보기엔 멀쩡해 보이고, GDP도 반등했고, 공장 굴뚝도 계속 연기 뿜고 있다.

하지만 그 내부를 뜯어보면,
정상 경제가 아니라 ‘전쟁경제’라는 일회성 엔진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냥 굴러가는 게 아니라, 쇠를 갈아 넣어서 억지로 굴리는 느낌에 가깝다.


🟣 1) GDP 상승의 진실 — “전쟁으로 GDP가 오른 나라”

러시아는 2023~2025년 동안 공식 수치 기준으로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건 경제 체력이 좋아서가 아니라,

  • 군수 지출 폭발
  • 국가 재정으로 억지 부양
  • 군인·용병·전쟁 관련 고용 증가

이 세 가지가 GDP를 끌어올린 **‘전시 특수 효과’**다.

문제는 이 성장의 절반 이상이
전쟁이 멈치는 순간 통째로 사라지는 휘발성 성장이라는 점이다.


🟣 2) 예산 구조의 붕괴 — “러시아 예산의 40%가 군사·안보”

전쟁 4년 차에 접어든 지금,

  • 군사비: 사상 최대
  • 사회복지·의료·교육: 사상 최저
  • 지역 예산: 부도 직전(일부 지역은 사실상 파산 상태)

러시아는 총을 늘리기 위해 학교·병원·연금을 깎아내는 방식으로 버티는 중이다.

이 구조는 오래 못 간다.
전쟁이 길어질수록 러시아 사회 내부의 피로감이 계단식으로 축적된다.


🟣 3) 인플레이션과 루블 — “숨기는 것과 버티는 것의 차이”

러시아 정부는 지표를 왜곡하고 있지만,

  • 실제 물가 상승률은 공식 발표의 2배 이상
  • 노동력 부족(전쟁+이민 이탈)으로 임금이 기형적으로 상승
  • 루블 가치는 국가 개입으로 억지 고정

즉, 러시아는 정상적인 시장이 아닌 ‘통제경제’ 상태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

이건 버티는 게 아니라,
무너지는 속도를 늦추는 것에 가깝다.


🟣 4) 중국·인도·중동과의 거래 — “버팀목이 아니라 산소호흡기”

러시아 경제가 완전히 꺼지지 않는 이유는 단 하나다.

  • 중국이 원유·가스를 사준다
  • 인도가 디스카운트로 산다
  • 중동·아프리카가 군수품·곡물 거래를 이어간다

하지만 이것은 정상적 시장 거래가 아니라
“전쟁 중 환자에게 산소호흡기 달아주는 수준의 응급처치”에 가깝다.

가격도 러시아가 아니라 구매국이 결정한다.
즉, 러시아는 자원부문에서 협상력이 거의 사라졌다.


🟣 5) 결론 — “러시아는 ‘붕괴’가 아니라 ‘소진’으로 간다”

러시아 경제는 내일 당장 부도나는 구조가 아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소모전 + 전쟁경제 조합으로 가면

  • 인구 감소
  • 사회 피로
  • 재정 고갈
  • 기술 격차 확대

이 네 가지가 동시에 러시아의 미래를 갉아먹는다.

러시아는 쓰러지는 게 아니라,
천천히 마모되다가 ‘한계선’을 넘는 순간 갑자기 무너지는 유형이다.

언제까지 버티느냐?
정확한 시간은 모르지만,
지금의 경제 엔진은 분명히 ‘유통기한이 있는 엔진’이다.


🌕 한 줄 정리 

“러시아는 굴러가지만, 앞으로 굴러갈수록 고장이 가까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