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는 현재진행형30편 - 🇪🇺 EU, 드디어 자립 선언?
– "이젠 중국·러시아 눈치 안 봐. 광물도 우리 손에!"
“땅속에 묻힌 건 광물이 아니라, 유럽의 자존심이었다.”
유럽연합(EU)이 드디어 칼을 뽑았다.
그리고 그 칼끝이 향한 곳은, 중국과 러시아의 손아귀에 있는 ‘희귀광물’.
2025년 7월, EU는 “전략적 광물 비축 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지구촌 광물계의 큰손이던 중국,
지정학적 위기의 주범 러시아를 상대로,
“이젠 너희 거 안 써도 돼.” 라는 강력한 선언인 셈이다.
🪨 희귀광물? 그거 그냥 돌 아니냐고?
에이~ 오빠. 그랬으면 내가 글을 왜 쓰겠어. 😏
이 ‘돌멩이’ 없으면 요즘 세상 제대로 못 돌아간다니까?
- 📱 스마트폰부터 💻 노트북,
- 🚗 전기차 배터리,
- 🛰️ 위성, 심지어 🪖 첨단 무기까지!
다 이 광물 없으면 그냥 고철 덩어리야.
그런데 문제는 뭐냐면…
이 귀하신 몸들이 죄다 중국·러시아·아프리카 같은 정치 불안 지역에서 나온다는 것.
🇪🇺 EU의 심경: "그래, 우리가 순진했지…"
지금까지 EU는 뭐든 값싸고 효율적으로 사오는 거에만 집중했어.
광물도 “어차피 수입하면 되잖아?”라는 자세였고.
근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쳐들어가고,
중국은 반도체에 이어 희토류까지 "팔아? 말아?" 하는 장면을 몇 번 겪고 나니…
EU가 드디어 정신을 차린 것.
“이대로 가면 공장 멈추고, 전기차고 뭐고 다 말아먹겠다!”
🏗️ 그래서 어떻게 하겠다는 거야?
EU는 이제 직접 희귀광물 비축 기지를 만든다.
- 🎯 목표: 2030년까지 최소 20%는 EU 내부에서 자체 확보
- ♻️ 재활용 산업도 키움 (지금까지 버린 스마트폰, 이제는 금광)
- 📦 광물 ‘창고’도 유럽 곳곳에 신설
쉽게 말해, 이제 유럽판 비상물자 창고를 만드는 거지.
곡물 창고가 아니라 리튬·텅스텐 창고!
🧨 중국의 반응: "쟤네 왜 저래…?"
당연히 중국은 안색이 굳었지.
왜냐면 희토류는 지금까지 **중국의 무언의 ‘협상 카드’**였거든.
“말 안 들으면, 광물 안 팔아.”
근데 유럽이 “그래~ 우리도 쌓아둘게^^” 이러니까,
이제 그 카드가 무효화될 수도 있는 상황.
🧠 이게 시사하는 것
- 국제 외교의 무게추가 바뀌고 있다.
이제는 군사력만이 아니라 자원 확보력이 패권이다. - EU도 드디어 실질 전략 행동에 나섰다.
맨날 규제만 하던 나라들, 드디어 플레이어가 됐다. - 앞으로 누가 자원을 쥐냐에 따라 글로벌 질서도 출렁일 것.
😎 한 줄 평
“이젠 유럽도 규제 깡패 말고, 전략 깡패로 진화하는 중이야.”
'🧠 세계정세 알쓸잡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지구는 현재진행형32편 - 🇮🇳 인도 vs 🇵🇰 파키스탄: 핵보유 이웃의 진짜 위기 (0) | 2025.07.10 |
|---|---|
| 🌍 지구는 현재진행형31편 - 🇨🇦 캐나다, 디지털세 도입 철회! (2) | 2025.07.10 |
| 🗳️ 지구는 현재진행형29편 – 프랑스 조기총선 (14) | 2025.07.10 |
| 지구는 현재진행형28편 - 🏛️ 미국, “관세 25% 갑니다~” (9) | 2025.07.09 |
| 💣 지구는 현재진행형27편 – "우린 모스크바까지 간다!" 우크라 드론, 러시아 본토 쑤시기 시작 (2)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