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정세 알쓸잡잡

🌎 지구는 현재 진행형 561편 브라질편 — 트럼프, 브라질산 소고기·커피 관세 전격 철회

by 지구굴림자 2025. 11. 24.

🌎 지구는 현재 진행형 561편 브라질편 — 트럼프, 브라질산 소고기·커피 관세 전격 철회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브라질산 소고기와 커피에 걸려 있던 관세를 전격 철회했다.
겉보기엔 단순히 “식품 가격 안정” 정도의 조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국·브라질의 전략적 재결합 + 글로벌 식량 패권 조정이라는
꽤 큰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식량물가 압박, 중남미 지정학,
그리고 글로벌 농산물 공급망이라는 세 개의 축에서 읽어야 한다.


🔵 1) 왜 브라질인가? — 트럼프 행정부의 ‘식량 물가 전쟁’

트럼프는 다시 집권한 뒤부터
‘미국 소비자 가격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미국 소비자 물가에서 비중이 큰 쇠고기·커피
정치적으로도 훨씬 민감한 품목이다.

  • 미국산 소고기는 공급이 제한적
  • 사료값·물류비가 크게 올라 생산비 부담 증가
  • 커피는 거의 전적으로 해외 의존

결국 브라질을 열어야 가격이 내려간다.

그래서 트럼프는 “일단 물가부터 잡고 간다”는 강한 메시지를
정책으로 직접 보여준 셈이다.


🔵 2) 트럼프의 방식: ‘동맹이든 아니든, 미국 물가가 먼저’

브라질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여러 관세·검역 규제로 충돌을 겪었었는데,
트럼프는 이를 한 번에 다 뒤집었다.

즉, 트럼프의 판단은 단순하다.

“외교보다 물가, 국익보다 표심이 먼저.”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서는
농산물·철강·배터리까지
트럼프 스타일 관세정책이 언제든 변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브라질은 이번에 ‘득’을 본 케이스지만,
다른 나라들은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커진다.


🔵 3) 브라질 입장에서는 ‘절호의 찬스’

브라질은 세계 1위 농산물 수출국이며
소고기·원두·설탕·옥수수·대두 모두 초강대국이다.

관세 철회는 브라질 경제 전체에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 미국 시장 재진입
  • 농가·수출업계 수익 증가
  • 브라질 화폐 헤알화 안정
  • 미국과의 관계 개선
  • 남미에서 브라질 영향력 확대

특히 브라질은 요즘
중국과의 경제관계를 줄이고
미국·EU·중동·인도로 공급망을 분산하려는 상황이라
이번 결정은 ‘천금 같은 기회’다.


🔵 4) 글로벌 식량 패권이 다시 흔들린다

소고기와 커피는 단순히 농산물이 아니라,
식량 안보의 핵심 축이다.

미국이 브라질을 다시 받아들이면
중국은 당연히 반응한다.

왜냐면:

  • 브라질 농산물의 최대 수입국 = 중국
  • 미국이 브라질을 되찾아가면 중국의 식량전략이 흔들림
  • 브라질 입장에서는 미국·중국 사이에 선택지가 생김

결국 식량 패권도
미·중의 장기 경쟁 구도로 빨려 들어가는 모양새다.


🔵 5) 오늘의 결론

트럼프의 이번 관세 철회는
“브라질이 좋아서”도,
“규범을 존중해서”도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미국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국이 필요할 때 브라질을 다시 불러온 것.”

하지만 그 효과는 미국-브라질 관계를 바꾸고,
중국의 식량 의존구조를 흔들고,
글로벌 농산물 시장 전체에 파장을 일으킨다.

이게 바로
‘트럼프 스타일의 경제·식량 지정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