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약에 한국이... 시리즈

🧠 만약에 러시아 혁명이 실패했더라면? - 🟠 3편: 냉전 없는 20세기

by 지구굴림자 2025. 9. 10.

🧠 만약에 러시아 혁명이 실패했더라면? - 🟠 3편: 냉전 없는 20세기


🌍 공산주의 없는 세상

혁명이 실패한 러시아는 공산주의의 심장부가 되지 않았다.
레닌, 트로츠키, 스탈린은 역사 속에서 한낱 망명가나 야당 인사로 남았을 뿐.
볼셰비즘은 유럽에서 이론으로만 존재하고,
중국과 한반도에서도 공산 혁명은 일어나지 않는다.


🤝 미국-러시아, 영원한 동맹?

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러시아는 여전히 자유주의 국가로서 서방과 긴밀히 협력한다.
전쟁 후에도 양측은 적이 아니라 동반자로 남는다.
“철의 장막”도, 냉전도, 핵무기 경쟁도 없다.


🏛 조기 글로벌 거버넌스

  • 국제연맹 → 해체되지 않고 개혁되어 UN으로 진화
  • 1950년대부터 미국·러시아·영국·프랑스가
    공동으로 국제 안보 시스템 구축
  • 식민지 해방도 훨씬 빠르게 진행 →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 조기 독립

🇰🇷 한반도의 미래

한반도는 미·러 공동 지원으로 조기에 독립,
38선도, 분단도, 6.25 전쟁도 없다.
일본은 전후 재건 과정에서 러시아와도 교류하며
동아시아에 더 안정적인 질서가 자리 잡는다.


🌐 글로벌 경제·문화 황금기

1950~60년대, 세계는 이미 글로벌 경제 통합을 시작.
컴퓨터·항공기·통신기술 발전이 1020년 앞당겨지고
우주 경쟁도 미·러 공동 탐사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지구촌”은 훨씬 일찍 실현되어
21세기에는 초-세계화 시대가 도래한다.


💭 코멘트

차르의 개혁에서 시작된 작은 변화가
20세기를 통째로 바꿔버렸다.
냉전 없는 세계, 분단 없는 한반도,
그리고 더 빨리 찾아온 글로벌 시대—
이것이 혁명이 실패한 세계의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