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정치 개그 시리즈

🔥 지구병크 연대기 – 특집-조선 후기 vs 2020년대 대한민국 — 외세에 둔감해진 순간의 공통점🟣 3편 — ‘둔감해지는 순간, 외세는 반드시 움직인다’

지구굴림자 2025. 11. 24. 09:20

🔥 지구병크 연대기 – 특집-조선 후기 vs 2020년대 대한민국 — 외세에 둔감해진 순간의 공통점

🟣 3편 — ‘둔감해지는 순간, 외세는 반드시 움직인다’

 


🔥 서론 — 병크는 항상 ‘내부에서 시작된다’

조선 후기의 몰락은
“일본이 강해져서”도,
“청이 약해져서”도,
“러시아가 남하해서”도 아니었다.

가장 근본 원인은,

나라 안이 이미 붕괴 중이었고, 그 틈을 외세가 아주 정확하게 파고들었다는 점이다.

2020년대 한국도 이 패턴이 기묘하게 반복되고 있다.


① 조선 후기: 외세에 둔감해진 건 백성이 아니라 ‘지배층’이었다

세도정치 70년 동안 조선 조정은
국가의 외부 환경을 거의 보지 않았다.

  • 민란 진압
  • 문벌 간 파벌 유지
  • 권력 세습
  • 뇌물·사사로운 인사

이 네 가지로 나라 전체가 돌아갔다.

그 사이에 세계는 뒤집히고 있었다.

  • 일본 → 메이지 개혁 직행
  • 청나라 → 아편전쟁으로 무너짐
  • 러시아 → 조선 근해로 진출
  • 미국·영국 → 조선 해안에 나타남

즉, 주변 정세가 급변해도 조선은 그냥 “우리끼리 싸우는 데 바빴다.”

그리고 바로 그 틈이 조선을 갈라먹은 통로가 된다.


② 2020년대 한국 — 왜 국민들은 외세에 무관심해졌나?

한국이 외세를 잊은 이유는 “정치적 난독증” 때문이 아니다.
더 구조적이다.

✔ 1) 내부 피로도가 역대 최고

  • 부동산 폭등–폭락
  • 세대 갈등
  • 일자리 스트레스
  • 삶의 불안정성
  • 자영업 몰락
  • 소득·복지·미래 불안

국민은 이미 생존 모드다.
외교·안보를 이해하고 분석할 에너지 자체가 없다.

조선 후기 백성들이
“내 앞의 세금·착취·생계” 때문에 외세를 볼 수 없었던 것과 똑같다.

✔ 2)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외교·안보 뉴스는 클릭이 안 된다.
자극적 스캔들, 연예계 뉴스, 국내 정치 싸움만 알고리즘이 밀어준다.

결과:
외세·지정학 변화는 국민의 눈앞에서 조용히 사라진다.

✔ 3) 정부·정치권 역시 내부 싸움에 몰입

  • 대선 프레임
  • 국회 내 소모전
  • 정쟁 위주 구도
  • 외교·안보 이슈의 ‘관리화’

조선 후기처럼
“국가의 외부 환경”보다
“내부 정치”가 우선순위가 되어버린 상태.

✔ 4) 그래서 생긴 현상

국민들은 외세에 둔감해지고,
정치는 외교보다 내부 싸움에 빠지고,
그 순간에 지정학의 거대한 톱니가 움직인다.


③ 외세는 대한민국의 ‘관심 공백’ 순간을 정확히 노린다

이건 조선 후기와 100% 동일한 패턴이다.

  • 일본 → 군사대전환 + 대만 개입 선언
  • 중국 → 군사화 + 대만·한반도 압박
  • 미국 → 인도·태평양 전략 재정비
  • 북한 → 미사일·드론·위성 도발
  • 대만해협 → 한국 경제 국맥이 걸린 지역

한국이 국내 문제에 정신 팔려 있는 사이
동아시아 전체는 ‘전쟁 직전 모드’로 구조 전환 중이다.

조선 후기에 외세가 움직였던 시점도
딱 “조선이 자기 내부 문제에 몰두하던 때”와 같았다.


④ 조선 후기와 현대 한국의 정확한 병크 유사성

🟣 조선 후기:
“지배층이 내부 싸움 → 외세가 조선의 무기력 감지 → 침탈 시작”

🟣 2020년대 한국:
“국민·정치·미디어 모두 국내 피로도에 잠김 → 동아시아 판이 조용히 바뀜”

결국 구조는 같다.

외세는 우리가 ‘바쁘다’고 멈춰주지 않는다.

 


🔥 결론 — 조선의 병크는 반복될 수 있다

(지구병크 연대기 시그니처 톤)

국가 몰락은 내부에서 시작되고
국가 위기는 외부에서 완성된다.

조선은 그러했고,
지금 동아시아는 또 그런 방향으로 흘러간다.

외세는 우리가 관심을 잃은 순간, 가장 빠르게 움직인다.

이건 역사의 아이러니이자
지정학의 잔혹한 법칙이다.